맨위로가기

이렌 졸리오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렌 졸리오퀴리는 프랑스의 과학자이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의 딸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방사선 기사로 활동했다. 1935년 남편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와 함께 인공 방사능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정치 및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여, 프랑스 사회당에 가입하고 여성 권익 신장과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방사성 물질 노출로 인한 백혈병으로 1956년 사망했으며, 딸 엘렌 랑주뱅-졸리오와 아들 피에르 졸리오 역시 과학자의 길을 걸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력 사고의 피폭자 - 루이스 슬로틴
    루이스 슬로틴은 캐나다 출신으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핵무기 개발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였으나, 임계 실험 중 사고로 다량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사망했으며 핵반응도 단위인 '달러'라는 용어를 처음 제안했다.
  • 원자력 사고의 피폭자 - 마리 퀴리
    폴란드 태생 프랑스 과학자 마리 퀴리는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개척하고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 순수 라듐 금속 분리 성공으로 두 차례 노벨상을 수상하며 과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여성 최초로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 핵화학자 - 프리츠 슈트라스만
    프리츠 슈트라스만은 독일의 화학자이자 대학교수로, 오토 한과 함께 우라늄 핵분열을 발견하고 방사성 연대 측정법 개발에 기여했으며, 나치 정권에 저항하며 인도주의적인 면모를 보였다.
  • 핵화학자 - 다카기 진자부로
    다카기 진자부로는 일본의 핵물리학자이자 사회 운동가로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탈원전 운동을 주도했으며, 원자력자료정보실 설립과 시민 과학 운동을 통해 원자력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퀴리가 - 피에르 퀴리
    프랑스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는 압전 효과 발견, 자기장 연구, 아내 마리 퀴리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통해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은 핵물리학 및 화학 발전에 기여했고 사후에도 그의 이름이 기려지고 있다.
  • 퀴리가 - 퀴리 부부
    퀴리 부부는 클로드 피노토가 1996년에 제작한 영화이다.
이렌 졸리오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졸리오-퀴리
졸리오-퀴리 (1935년)
출생 이름이렌 퀴리
출생일1897년 9월 12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제3공화국
사망일1956년 3월 17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4공화국
배우자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1926년 결혼)
자녀엘렌
피에르
부모피에르 퀴리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가족퀴리
서명
학력 및 경력
모교파리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폴 랑주뱅
박사 학위 논문 제목폴로늄의 α선 연구: 경로 진동, 방출 속도, 이온화력 (Recherches sur les rayons α du polonium : oscillation de parcours, vitesse d'émission, pouvoir ionisant)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25년
직장파리 대학교
라듐 연구소
지도 학생그녀의 자녀들
수상
수상노벨 화학상 (1935년)
연구 분야
연구 분야화학
물리학
업적
주요 업적인공 방사능 발견

2. 생애

이렌 졸리오퀴리는 마리 퀴리피에르 퀴리의 딸로 태어나 과학적인 환경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의 교육 철학 아래 특별한 교육을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어머니를 도와 전장에서 X선 기사로 활동하며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6][68]

전후 어머니의 라듐 연구소에서 연구를 시작하여[76], 동료 연구자 프레데리크 졸리오와 만나 1926년 결혼하고 '졸리오퀴리'라는 성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92] 부부는 중성자양전자 연구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156][10], 1934년 인공 방사능을 발견하여[98][99] 연금술의 오랜 꿈을 실현하고 의학 및 과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공로로 1935년 부부는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00] 이후에도 핵분열 연구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등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167][15]

과학 연구 외에도 이렌 졸리오퀴리는 파시즘에 반대하고 평화를 옹호하는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6][10] 1936년 레옹 블룸 내각에서 과학 담당 국무 차관으로 임명되어 프랑스 최초의 여성 각료 중 한 명이 되었으며[104][10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남편과 함께 레지스탕스 운동에 가담했다.[110] 전후에는 원자력에너지위원회(CEA) 위원[16], 퀴리 연구소 소장[16][10] 등을 역임하며 프랑스 과학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여성의 권리 신장과 평화 운동에도 힘썼다.[10]

오랜 기간 방사성 물질을 다룬 연구 활동의 영향으로 백혈병을 앓게 되었고[16][10], 1956년 3월 17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149] 그녀는 뛰어난 과학적 업적과 더불어 사회 정의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인물로 기억된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이렌 졸리오퀴리는 1897년 9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마리피에르의 첫째 딸로 태어났다. 여동생은 1904년에 태어난 에브이다.[6] 당시 부모는 방사성 원소 연구에 몰두하고 있었으며, 이렌이 태어난 해는 부모가 라듐을 발견하기 전 해였다. 어린 시절, 부모가 실험으로 바빠 주로 할아버지이자 의사인 외젠 퀴리와 많은 시간을 보냈다. 아버지를 "페(Pé)", 어머니를 "메(Mé)"라고 불렀으며, 어머니에 대한 독점욕이 강하고 낯가림이 있는 성격이었다고 전해진다.

1906년 4월 19일, 8살 때 아버지 피에르가 마차 사고로 사망했고[6], 어머니 마리가 홀로 두 딸을 키우게 되었다. 이렌은 아버지의 죽음을 처음에는 이해하지 못했으나 이내 슬퍼하며 어머니에게 달려갔다고 한다. 피에르의 죽음 후 마리는 소로 이사했고, 그 해 11월 남편의 뒤를 이어 소르본 대학교 강사가 되었는데[41], 첫 강의에는 이렌도 참관했다.[42]

마리는 교육을 매우 중시했다.[7] 이렌은 처음 파리 천문대 근처의 사립 학교에 다녔으나[43][7], 마리는 당시 프랑스 중등 교육에 만족하지 못해[44] 이렌을 중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대신 집에서 할아버지 외젠에게 빅토르 위고 등의 문학을 배웠고[45][46], 외젠은 이후 이렌의 정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45] 또한 폴란드인 가정교사에게 여동생 에브와 함께 폴란드어를 배우기도 했다.[47]

1906년경 이렌이 수학에 재능을 보이자[7], 마리는 폴 랑제뱅, 장 페랭 등 저명한 학자들과 함께 "협동 학교"를 설립했다.[7][48] 이는 프랑스 최고 학자들의 자녀 약 9명을 대상으로 학자들이 직접 자신의 집이나 연구소에서 가르치는 특별한 교육 방식이었다.[7][49] 교육 과정은 과학 원리뿐 아니라 중국어, 조각 등 다양했으며, 자기 표현과 놀이도 중시되었다.[8] 이렌은 이 협동 학교에서 약 2년간 공부했다.[11][46]

마리는 체육 교육도 중요하게 여겨 딸들에게 수영, 자전거 타기, 승마, 등산, 스키 등을 가르쳤다.[50][51][52] 이렌은 훗날 자신이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여성 스키어 중 한 명"이라고 말하기도 했다.[53] 13살 때는 여동생 에브와 함께 폴란드에 있는 이모 브로니아(마리의 여동생) 집에서 여름을 보냈는데, 방학 중에도 매일 독일어와 삼각법 수업을 받을 정도로 교육은 엄격했다.[6] 할아버지 외젠은 1910년 2월 사망했다.[56]

협동 학교 이후, 이렌은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을 2년 앞두고 세비네 학교에 입학했다.[57] 이 학교는 마리가 강의 부담이 적고 자유로우며 근대적인 교육을 한다는 이유로 선택했다.[57][58] 이렌은 이곳에서 수학과 물리학에 뛰어난 성적을 보였고, 동급생들에게 수업을 가르치기도 했다.[59] 1910년부터 1911년에 걸쳐 어머니 마리가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거와 폴 랑제뱅과의 관계로 인해 언론의 비난에 시달렸는데, 이는 어린 이렌에게도 상처가 되었다.[60][61][62][63] 그러나 1911년 마리가 두 번째 노벨상을 수상했을 때, 이렌은 스웨덴 수상식에 동행하여[62] 어머니의 명성과 과학의 가치를 직접 확인하는 경험을 했다.[64]

1914년까지 세비네 칼리지를 다닌 후 소르본 대학교 과학부에 입학하여 바칼로레아 과정을 마쳤지만,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학업이 중단되었다.[11]

2. 2. 제1차 세계 대전

어머니 마리 퀴리, 여동생 에브 퀴리와 함께한 이렌(왼쪽)


1914년 여름, 유럽의 정세가 불안해지자 마리 퀴리는 두 딸 이렌과 에브 퀴리를 브르타뉴 북부의 라르퀘스트로 피신시켰다.[65] 곧이어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지만, 파리가 비교적 안전하다고 판단되자 마리는 딸들을 다시 파리로 불러들였다.[66]

전쟁이 시작되자 마리 퀴리는 부상병 치료를 돕기 위해 직접 이동식 X선 장비를 갖춘 차량을 운영하며 전장을 누볐다.[67] 이렌은 대학에서 간호 과정을 이수하고[9], X선 촬영 기술을 배워 1914년 11월부터 어머니의 조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68][69] 당시 그녀의 나이는 17세였다.[70] 이렌은 어머니와 함께 전장에서 간호사이자 방사선 기사로 일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벨기에의 한 방사선 시설에서 홀로 X선 검사 업무를 맡게 되었다.[6][71] 그녀는 의사들에게 방사선을 이용해 부상병 몸속의 파편 위치를 찾는 방법을 가르쳤고, 필요한 장비를 스스로 수리하는 법도 익혔다.[6] 이렌은 프르네, 이프르, 아미앵 등 여러 지역의 병원과 전장을 오가며 헌신적으로 활동했다.[6] 또한, 어머니와 함께 부족한 X선 촬영 기사를 양성하는 일에도 힘썼다.[72][73] 이러한 활동 중에도 틈틈이 학업을 이어가 학사 학위 취득을 준비했다.[74][75]

전쟁 중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보여준 그녀의 헌신적인 노력은 인정받아 군사 훈장을 받았다.[7] 전쟁이 끝난 후, 이렌은 1918년 파리의 소르본 대학교로 돌아가 중단했던 학업을 다시 시작하여 수학 및 물리학에서 두 번째 학사 학위를 준비했다.[9]

2. 3. 연구

1925년 이렌과 마리 퀴리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이렌은 어머니 마리 퀴리의 라듐 연구소에서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다.[76][77] 그녀는 먼저 광물 속 염소의 원자량을 구하는 연구에 몰두했다.[78] 뛰어난 수학 및 물리 지식과 침착한 성격, 그리고 소장인 어머니 곁에 항상 머물렀기에 동료들 사이에서는 '공주'라고 불리기도 했다.[79][80]

1921년, 미국인들의 모금으로 라듐 1그램을 무상으로 제공받게 되자 마리 퀴리는 이렌, 에브와 함께 미국을 방문했다.[81] 미국에서의 뜨거운 환영과 연일 이어진 행사로 마리가 건강이 악화되자[83], 이렌과 에브가 대리로 참석하는 경우가 많았다.[84] 이렌은 이 여행에서 뉴욕의 풍경과 그랜드 캐니언 등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84][85]

귀국 후 연구를 계속하며 학위 준비를 한 이렌은 1925년 3월, 폴로늄의 알파선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78][86] 소르본 대학교 강당에서 열린 학위 발표회에는 1,000명이 넘는 청중이 모였으며[87], 이는 프랑스 언론뿐 아니라 미국의 뉴욕 타임스 등에서도 보도될 정도로 큰 화제가 되었다.[88][89] 당시 과학 연구가 여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렌은 과학 적성에 남녀 차이는 없다고 답했다.[88][90]

1924년 박사 과정 막바지에, 이렌은 훗날 남편이 되는 젊은 화학 공학자 프레데리크 졸리오에게 방사화학 연구에 필요한 정밀 실험 기술을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1925년, 폴 랑주뱅의 추천으로 프레데리크 졸리오가 마리 퀴리 연구소의 조수로 합류했고[91], 이렌과 프레데리크는 가까워져 1926년 10월 결혼했다.[92] 결혼 후 두 사람은 '졸리오퀴리'라는 성을 함께 사용하며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

1927년 딸 엘렌을, 1932년 아들 피에르를 낳았다.[95][96] 엘렌은 핵물리학자, 피에르는 생물물리학자가 되었다. 이렌은 임신 중 폐결핵 진단을 받았고[94], 1934년부터는 매년 요양이 필요했지만 육아와 연구를 병행했다.[101]
주요 연구 및 발견
이렌 졸리오퀴리, 1920년대 추정


졸리오퀴리 부부는 1928년부터 원자핵 연구에 힘을 합쳤으며[10], 마리 퀴리가 발견한 폴로늄을 이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153]

  • 중성자 발견의 실마리: 1930년 발터 보테 등이 발표한 '폴로늄의 알파 입자가 베릴륨과 충돌 시 투과성 높은 방사선 방출' 현상을 확인하고, 이 방사선이 수소 함유 물질에서 양성자를 방출시킨다고 발표했다.[154][155] 그러나 제임스 채드윅은 이것이 양성자가 아닌 중성자임을 밝혀냈고, 이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56] 졸리오퀴리 부부는 중성자 발견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지만, 최종적인 발견에는 이르지 못했다.[156]
  • 양전자와 중성자 연구: 1932년, 감마선을 이용한 실험에서 양전자중성자를 확인했지만, 그 중요성을 완전히 해석하지는 못했다. 이 발견들은 이후 각각 칼 데이비드 앤더슨제임스 채드윅에 의해 확립되었다.[10] 1933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중성자의 정확한 질량을 처음으로 계산했다.[10]
  • 솔베이 회의 발표와 논란: 1933년, 알루미늄에 알파선을 충돌시키는 실험에서 양성자만 검출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양성자가 중성자와 양전자로 변환된다는 새로운 이론을 제7회 솔베이 회의에서 발표했다.[10] 하지만 리제 마이트너 등 저명한 과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0][157][158] 닐스 보어 등의 격려 속에 연구를 지속했다.[157]
  • 인공 방사능 발견: 1934년 1월, 알루미늄 박편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키는 실험 중, 알파선원을 제거한 후에도 방사선(양전자)이 계속 방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98][99][157] 이는 안정 동위원소인 알루미늄이 방사성을 띤 새로운 원소( 동위원소)로 변환되었음을 의미하는, 최초의 인공 방사능 발견이었다.[99][159]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2][13][14][160]

:{}_2^4\mathrm{He}+{}_{13}^{27}\mathrm{Al}\to{}_{~15}^{~30}\mathrm{P}+{}_0^1\mathrm{n}

생성된 방사성 인(30P)은 반감기 약 3분으로 양전자를 방출하며 안정한 규소(30Si)로 붕괴한다.[160]

:{}_{15}^{30}\mathrm{P}\to{}_{~14}^{~30}\mathrm{Si}+{}_1^0\mathrm{e}

이 발견은 붕소에서 방사성 질소를, 마그네슘에서 규소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등, 한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꾸는 연금술사의 꿈을 실현한 것이었다. 또한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사성 물질을 빠르고 저렴하게 생산할 길을 열었다. 이 공로로 졸리오퀴리 부부는 193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고[100], 이렌은 과학부 교수로 임명되었다.

  • 핵분열 연구 기여: 1937년, 이렌은 우라늄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반감기 3.5시간의 새로운 방사성 물질을 발견하고 토륨동위 원소라고 발표했다.[163] 리제 마이트너는 이에 의문을 제기했으나[163][164], 이렌은 1938년 이 물질이 란탄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고 다시 발표했다.[166] 이렌의 연구는 오토 한, 프리츠 슈트라스만, 리제 마이트너 등이 우라늄의 핵분열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67] 비록 직접 핵분열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그녀의 선구적인 연구는 핵분열 연구의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15]

전후 활동 및 말년1948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핵분열 연구를 바탕으로 프랑스 최초의 원자로인 조에(Zéro énergie Oxyde et Eau lourde)를 개발했다.[10][11] 이들은 원자로 개발을 주관한 원자력에너지위원회(CEA)의 핵심 멤버로 활동했으며, 이렌은 위원으로, 프레데리크는 위원장으로 참여했다.[10] 조에 원자로는 프랑스 원자력 발전의 시작을 알렸다.[10][11]

오랜 기간 방사성 물질을 다룬 연구 활동으로 인해 이렌은 결국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16][10] 특히 1946년 실험실에서 폴로늄 봉인 캡슐이 폭발하는 사고로 방사능에 노출된 것이 치명적이었다.[17] 항생제 치료와 수술로 잠시 호전되기도 했으나 병세는 계속 악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렌은 연구를 멈추지 않았으며, 1955년에는 현재 파리-사클레 대학교의 일부인 오르세 과학 학부에 새로운 물리학 연구소를 설립할 계획을 세우는 등 마지막까지 연구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2. 4. 정치 및 사회 활동

졸리오퀴리 부부는 파시즘 운동의 성장에 대해 점차 우려를 나타냈다.[16][10] 파시즘에 반대하며 1934년 프랑스 사회당에 가입했고, 이듬해에는 Comité de vigilance des intellectuels antifascistes|지식인 반파시스트 감시 위원회프랑스어에 참여했다.[16] 1936년에는 스페인 내전에서 공화파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6]

같은 해, 레옹 블룸 내각이 출범하자 이렌은 블룸의 요청으로 과학 담당 국무 차관에 임명되었다.[104][105] 이는 프랑스 역사상 최초의 여성 각료였다.[105] 이렌은 이 직책이 연구 시간을 빼앗을 것을 우려하여 처음부터 한시적으로만 맡기로 했고, 실제로 취임 몇 달[106] 만에 사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녀는 연구 예산 증액과 여학생에 대한 장학금 및 자격 시험 제도를 남학생과 동등하게 할 것을 요구했으며,[107]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국립 과학 연구 센터프랑스어 설립에도 기여했다.[16]

연구 측면에서는 노벨상 수상 이후 프레데릭과의 공동 연구를 마치고, 1936년 어머니의 뒤를 이어 파리 대학교 소르본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렌은 강의를 하면서도 라듐 연구소에서 핵분열 관련 연구를 계속했다.[108] 한편, 남편 프레데릭은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가 되었다.[109]

부부는 연구 결과를 공개하는 어머니의 정책을 이어갔지만, 1939년 10월 30일에는 핵분열 연구가 군사적으로 이용될 위험을 우려하여 관련 문서를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금고에 맡겼고, 이 문서는 1949년까지 보관되었다.[16]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파리가 독일군에게 점령되자, 이렌은 남편 프레데릭과 함께 프랑스에 남아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다.[110] 프레데릭은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기도 했다.[111] 전쟁 중 식량 부족 등으로 이렌의 결핵은 악화되었고,[112] 이로 인해 매년 스위스의 요양원과 프랑스를 오가며 지내야 했으며, 요양 기간은 점차 길어졌다.[113][114]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남편과 아이들과 떨어져 지내는 요양원 생활은 이렌에게 큰 불안감을 안겨주었다.[115] 주변에서는 국외 이주를 권했지만, 연구를 지키기 위해 거절했다.[116]

1944년, 프레데릭이 레지스탕스 그룹의 책임자가 되면서[117] 신변의 위험이 커지자, 이렌과 두 아이를 스위스로 피신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렌은 처음에는 딸 엘렌의 바칼로레아 시험 때문에 반대했지만,[118][119] 결국 아이들과 함께 몽벨리아르로 이동하여 엘렌이 시험을 치른 후 국경을 넘어 스위스로 들어갔다.[120] 국경을 넘은 날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개시된 1944년 6월 6일이었다.[119][121] 스위스에서는 미리 피신해 있던 폴 랑주뱅과 재회했다.[121]

전쟁 후에도 이렌의 정치 및 사회 활동은 계속되었다. 그녀는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원자력 위원회프랑스어 위원으로 활동했으며,[16] 1946년에는 어머니가 설립한 Institut Curie|퀴리 연구소프랑스어의 소장직을 맡았다.[16][10] 또한, 여성 교육 증진에 힘쓰며 Comité National de l'Union des Femmes Françaises|프랑스 여성 연합 전국 위원회프랑스어세계 평화 평의회에서도 활동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졸리오퀴리 부부는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는데, 이렌은 장교(Officier프랑스어) 등급을, 프레데릭은 레지스탕스 활동 공로로 사령관(Commandeur프랑스어) 등급을 받았다.[16][10]

한편, 프레데릭이 프랑스 공산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이렌은 스페인 난민 지원을 위한 Joint Anti-Fascist Refugee Committee|반파시스트 난민 공동 위원회영어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 엘리스 섬에 구금되기도 했다.[18] 부부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220주년 기념행사 참석차 모스크바를 방문한 후 러시아 동료들에게 공감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2. 5. 개인적인 삶

1940년대 졸리오퀴리 부부


이렌은 1925년 마리 퀴리의 연구소 조수로 들어온 프레데리크 졸리오와 가까워져 1926년 10월 결혼했다.[91][92] 결혼식은 따로 올리지 않았고, 두 사람은 결혼 후 성을 합쳐 '졸리오퀴리'로 사용했다.[92] 결혼 초기에는 어머니 마리, 동생 에브와 함께 살다가 라탱 구역의 아파트로 이사했다.[93] 부부는 결혼 11개월 만인 1927년 9월 17일 딸 엘렌을 낳았고[95], 1932년에는 아들 피에르를 낳았다.[16][96] 이렌은 임신 중 결핵 진단을 받았으나[94], 이후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육아와 연구를 병행했다.[95] 훗날 엘렌은 핵물리학자가, 피에르는 생물물리학자가 되었다.

이렌은 어린 시절부터 사교성이 부족하고 무뚝뚝한 편이었으며, 옷차림이나 형식적인 의례에 무관심했다.[170][171][178] 타인에게 웃는 얼굴을 잘 보이지 않았고 직설적인 말투를 사용했지만[173][79], 가족이나 친한 친구들에게는 다정하고 편안한 모습을 보였다.[174] 물리학자 리제 마이트너는 이렌의 겉모습과 달리 마음의 따뜻함을 아는 사람은 소수였다고 회고했다.[175] 여동생 에브는 언니가 침착하고 항상 기분이 좋은 사람이었으며, 한 번도 거짓말을 한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177] 이렌 스스로는 어머니 마리보다 아버지 피에르 퀴리를 더 닮았다고 생각했으며, 남편 프레데리크 역시 이렌이 피에르의 순수함, 양식, 침착함을 닮았다고 평가했다.[177][183] 이렌은 할아버지 외젠 퀴리의 영향으로 정치적으로 좌익 사상에 공감했고 평생 교회에 가지 않았다.[182] 스포츠 중에서는 하이킹과 수영을 특히 좋아했다.[184]

이렌은 과학 분야를 포함한 페미니스트 운동의 열정적인 지지자였으며 평화를 옹호했다.[10] 여성 회원을 받아들이지 않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관행에 항의하기 위해 거절당할 것을 알면서도 꾸준히 회원으로 지원했다.[10] 또한 국제 여성의 날 컨퍼런스 등 여러 행사에서 연설했으며, 평화를 위한 지식인 세계 회의에서 프랑스 대표단으로 활동하며 평화 운동에 기여했다.[10] 1934년경부터는 남편과 함께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했고[103], 1936년 레옹 블룸 내각에서는 프랑스 최초의 여성 각료 중 한 명으로 과학 담당 국무 차관에 임명되었다.[104][105] 연구 시간 부족을 우려해 몇 달 만에 사임했지만, 재임 기간 동안 연구 예산 증액과 여학생에 대한 동등한 대우 등을 요구했다.[106][107] 1948년 광부 파업 당시에는 파업 노동자 자녀들을 임시로 입양하도록 다른 가족들을 설득하는 캠페인에 참여했고, 졸리오퀴리 부부 역시 두 명의 소녀를 잠시 맡아 돌보았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리가 독일에 점령당하자 이렌은 남편과 함께 프랑스에 남아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다.[110] 전쟁 중 식량 부족 등으로 결핵이 악화되어 1941년부터 1943년 사이에는 매년 스위스의 요양원에서 지내야 했다.[16][112][113] 남편이 레지스탕스 활동으로 위험에 처하고 자녀들이 점령된 프랑스에 있다는 사실 때문에 고통스러워했으며, 여러 차례 위험을 무릅쓰고 프랑스를 방문하다가 국경에서 독일군에게 구금되기도 했다.[16][115] 1944년, 남편 프레데리크가 레지스탕스 그룹의 책임자가 되면서 신변의 위험이 커지자, 이렌은 두 자녀를 데리고 스위스로 피신했다.[117][118][120] 이들이 국경을 넘은 날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개시된 1944년 6월 6일이었다.[119][121] 스위스에서 먼저 피신해 있던 폴 랑주뱅과 재회했고[121], 몇 달 후인 1944년 9월에는 남편 프레데리크와도 다시 만날 수 있었다.[16]

일본의 물리학자 유아사 토시코가 연구를 위해 찾아왔을 때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유아사의 간절한 사정을 듣고 남편의 연구소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주선해주었다. 유아사는 이렌이 겉으로는 차가워 보여도 속정이 깊고 섬세한 감정을 가진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186]

2. 6. 죽음

오랜 방사능 연구의 영향으로 이렌 졸리오퀴리의 건강은 점차 악화되었다. 폐결핵 증상은 다소 호전되었으나, 만성적인 피로에 시달렸고[145] 안색도 눈에 띄게 나빠졌다.[142]

1955년, 남편 프레데리크와 공동 논문을 발표한 후, 연말에는 요양을 위해 프랑스 알프스의 쿠르슈벨로 떠났다.[146] 그곳에서 딸 엘렌 부부, 아들 피에르 등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냈지만, 건강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파리로 돌아와 라듐 연구소 근처의 퀴리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147] 진단명은 급성 백혈병이었다.

입원 후 이렌의 몸은 빠르게 쇠약해져 갔다. 비슷한 시기에 건강이 악화된 남편 프레데리크는 병문안을 와도 오래 머물지 못할 정도였다.[148] 병상에서 이렌은 오랜 친구에게 "죽는 건 무섭지 않아. 이렇게 열중해서 보낸 인생인데!"라고 말하며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해 의연한 태도를 보였다.[149]

결국 1956년 3월 17일, 이렌 졸리오퀴리는 58세의 나이로 백혈병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19][149] 그녀의 백혈병은 연구 과정에서 다루었던 폴로늄-210과 같은 방사성 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19][20]

무신론자이자 반전주의자였던[16][22][23] 고인의 신념을 존중하여, 프랑스 정부가 국장으로 장례를 치렀을 때[150] 가족들은 장례 절차에서 종교적이거나 군사적인 부분을 제외해 줄 것을 요청했다.[16] 남편 프레데리크 역시 오랜 방사선 노출의 영향으로 추정되는 간 질환으로 투병하다가 이렌이 사망한 지 2년 뒤인 1958년에 사망했으며,[21][137] 그 또한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16]

이렌 졸리오퀴리의 자녀들은 부모의 뒤를 이어 과학계에서 활동했다. 딸 엘렌 랑게뱅-졸리오는 핵물리학자가 되어 파리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아들 피에르 졸리오는 생화학자로서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16]

3. 수상 경력

4. 유산

프레데리크 졸리오이렌은 1928년부터 원자핵 연구에 함께 매진했다. 이들은 마리 퀴리가 분리한 폴로늄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비록 양전자중성자를 실험적으로 확인했지만, 그 중요성을 완전히 해석하지는 못하여 각각 칼 데이비드 앤더슨제임스 채드윅이 발견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3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중성자의 정확한 질량을 최초로 계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같은 해 10월, 제7차 솔베이 회의에서 알루미늄에 알파선(헬륨 핵)을 쏘아 양성자가 중성자와 양전자로 변환된다는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많은 과학자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1934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과학사에 길이 남을 중요한 발견을 해냈다. 마리피에르 퀴리가 자연 방사성 원소를 분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은 인공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알루미늄의 안정 동위원소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키자 방사성을 띤 새로운 인 동위원소가 생성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이 반응은 27Al + 4He → 30P + 1n 로 표현되며, 생성된 30P는 양전자를 방출하며 붕괴한다 (베타 붕괴). 이는 역사상 최초의 인공 방사능 발견으로, 한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꾸는 연금술사의 오랜 꿈을 실현한 것이었다. 이 발견은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한 방사성 물질을 빠르고 저렴하게 생산할 길을 열었으며, 졸리오퀴리 부부는 이 공로로 193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렌의 연구는 이후 핵분열 발견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그녀의 그룹이 진행한 라듐 핵 연구는 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 프리츠 슈트라스만 등 독일 과학자 그룹이 핵분열 현상을 발견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리제 마이트너는 이렌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핵분열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증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렌은 남편 프레데리크와 함께 프랑스의 원자력 연구 개발을 이끌었다. 이들은 프랑스 원자력에너지위원회(CEA,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의 창설 멤버로 활동했으며, 이렌은 위원으로, 프레데리크는 의장으로 참여했다. 1948년, 이들의 주도로 프랑스 최초의 원자로인 'Zoé'(Zéro énergie Oxyde et Eau lourde)가 가동되었다. 이는 핵분열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프랑스 원자력 발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졸리오퀴리 부부의 이러한 노력은 프랑스가 원자력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기초가 되었으며, 2020년 기준으로 프랑스는 전력의 약 75%를 원자력에서 얻고 있다.

오랜 기간 방사성 물질을 다루었던 이렌은 결국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 특히 1946년 실험실에서 폴로늄이 담긴 캡슐이 폭발하는 사고로 방사능에 노출된 것이 건강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여러 차례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병세는 계속 악화되었지만, 그녀는 연구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1955년에는 현재 파리-사클레 대학교의 일부인 오르세 과학 학부에 새로운 물리학 실험실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우는 등 마지막까지 과학 발전에 헌신했다.

이렌 졸리오퀴리의 업적을 기리고 프랑스 과학 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지위 향상을 장려하기 위해, 2001년 프랑스 연구 담당 부처는 이렌 졸리오퀴리 상을 제정했다[151][152].

참조

[1] 웹사이트 Nobel Prize facts: 'Family Nobel Laureates' https://nobelprize.o[...] Nobel Foundation 2008-09-04
[2]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Facts - Women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17-10-07
[3] 웹사이트 Global Day Of Parents 2021: Parent-Child Pairs Who Won The Nobel Prize https://www.ndtv.com[...] 2021-06-01
[4] 문서
[5] 서적 Out of the Shadows: Contributions of Twentieth-Century Women to Phys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Marie Curie and her daughters : the private lives of science's first family 2012-08-21
[7] 웹사이트 Irene Joliot-Curie http://www.woodrow.o[...]
[8] 웹사이트 Irene Joliet-Curie http://www.woodrow.o[...] Woodrow Wilson National Fellowship Foundation 2012-10-19
[9] 간행물 Irene Joliot-Curie (1897–1956) 2018-03-27
[10] 서적 Devotion to Their Science: Pioneer Women of Radioactivity MQUP
[11] 서적 Irène Joliot-Curie. Great Neck Publishing
[12] 웹사이트 Nobel Lecture: Artificial Production of Radioactive Elements http://nobelprize.or[...] 1935-12-12
[13] 웹사이트 Chemical Evidence of the Transmutation of Elements https://www.nobelpri[...] 1935-12-12
[14] 웹사이트 Irène Joliot-Curie Contributions and Bibliography http://cwp.library.u[...] Contributions of 20th Century Women to Physics
[15] 백과사전 Frederic and Irene Joliot-Curie https://www.britanni[...]
[16] 서적 Nobel Prize Women in Science: Their Lives, Struggles, and Momentous Discoveries Joseph Henry Press.
[17] 웹사이트 Six Secrets of Polonium https://www.smithson[...] 2023-11-17
[18] 서적 A Devotion to Their Science: Pioneer Women of Radioactivity https://www.worldcat[...] Chemical Heritage Foundation 1997
[19] 웹사이트 Q&A: Polonium-210 http://www.rsc.org/c[...]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8-09-04
[20] 간행물 Polonium – on the Trace of a Powerful Alpha Nuclide in the Environment https://www.research[...]
[21] 서적 Marie Curie and her daughters : the private lives of science's first family 2012-08-21
[22] 문서
[23] 서적 The Curies: A Biography of the Most Controversial Family in Science https://archive.org/[...] Wiley 2005-08
[24] 뉴스 BARNARD MEDAL GOES TO THE JOLIOT-CURIES https://www.nytimes.[...] 2020-09-10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37] 서적 コットン(1964)
[38]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39]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40]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41]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42] 서적 ゴールドスミス(2007)
[43] 서적 ロリオ(1994)
[44]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45]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46]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47]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48] 서적 コットン(1964)
[49] 서적 ロリオ(1994)
[50] 서적 コットン(1964)
[51] 서적 ロリオ(1994)
[52]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53]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54] 서적 ロリオ(1994)
[55] 서적 コットン(1964)
[56] 서적 コットン(1964)
[57]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58] 서적 コットン(1964)
[59] 서적 ゴールドスミス(2007)
[60] 서적 ロリオ(1994)
[61] 서적 ロリオ(1994)
[62] 서적 マグレイン(1996)
[63] 서적 ロリオ(1994)
[64] 서적 ロリオ(1994)
[65] 서적 マグレイン(1996)
[66] 서적 ロリオ(1994)
[67]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68]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69]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70] 서적 ロリオ(1994)
[71]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72]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73] 서적 ロリオ(1994)
[74] 서적 キュリー,イレーヌ(1956)
[75] 서적 ロリオ(1994)
[76] 서적 マグレイン(1996)
[77] 서적 ロリオ(1994)
[78] 서적 コットン(1964)
[79] 서적 マグレイン(1996)
[80] 서적 ロリオ(1994)
[81] 서적 ロリオ(1994)
[82]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83]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84] 서적 ロリオ(1994)
[85] 서적 キュリー,エーヴ(2014)
[86] 서적 ロリオ(1994)
[87] 서적 マグレイン(1996)
[88] 서적 マグレイン(1996)
[89] 서적 ロリオ(1994)
[90] 서적 ロリオ(1994)
[91] 서적 コットン(1964)
[92] 서적 ロリオ(1994)
[93] 서적 モンテイユ(2023)
[94] 서적 ロリオ(1994)
[95] 서적 ロリオ(1994)
[96] 서적 マグレイン(1996)
[97] 서적 ロリオ(1994)
[98] 서적 ロリオ(1994)
[99] 서적 マグレイン(1996)
[100] 서적 ロリオ(1994)
[101] 서적 ロリオ(1994)
[102] 서적 ロリオ(1994)
[103] 서적 ロリオ(1994)
[104] 서적 ロリオ(1994)
[105] 서적 フェールズィング(2012)
[106] 서적 ロリオ(1994)
[107] 서적 モンテイユ(2023)
[108] 서적 ロリオ(1994)
[109] 서적 マグレイン(1996)
[110] 서적 ロリオ(1994)
[111] 서적 ロリオ(1994)
[112] 서적 マグレイン(1996)
[113] 서적 ロリオ(1994)
[114] 서적 モンテイユ(2023)
[115] 서적 ロリオ(1994)
[116] 서적 モンテイユ(2023)
[117] 서적 ロリオ(1994)
[118] 서적 ロリオ(1994)
[119] 서적 マグレイン(1996)
[120] 서적 ロリオ(1994)
[121] 서적 ロリオ(1994)
[122] 서적 ロリオ(1994)
[123] 서적 ロリオ(1994)
[124] 서적 ロリオ(1994)
[125] 서적 モンテイユ(2023)
[126] 서적 ロリオ(1994)
[127] 서적 ロリオ(1994)
[128] 서적 ロリオ(1994)
[129] 서적 ロリオ(1994)
[130] 서적 ロリオ(1994)
[131] 서적 マグレイン(1996)
[132] 서적 ロリオ(1994)
[133] 서적 ロリオ(1994)
[134] 서적 マグレイン(1996)
[135] 서적 ロリオ(1994)
[136] 서적 ロリオ(1994)
[137] 서적 ロリオ(1994)
[138] 서적 ロリオ(1994)
[139] 서적 ロリオ(1994)
[140] 서적 モンテイユ(2023)
[141] 서적 ロリオ(1994)
[142] 서적 ロリオ(1994)
[143] 서적 ロリオ(1994)
[144] 서적 ロリオ(1994)
[145] 서적 ロリオ(1994)
[146] 서적 ロリオ(1994)
[147] 서적 ロリオ(1994)
[148] 서적 ロリオ(1994)
[149] 서적 ロリオ(1994)
[150] 서적 ロリオ(1994)
[151] 서적 モンテイユ(2023)
[152] 웹사이트 2017年イレーヌ・ジョリオ=キュリー賞:3名の女性科学者が受賞 https://crds.jst.go.[...]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研究開発戦略センター 2018-01
[153] 서적 ロリオ(1994)
[154] 서적 サイム(2004)
[155] 서적 ロリオ(1994)
[156] 서적 マグレイン(1996)
[157] 서적 マグレイン(1996)
[158] 서적 ゴールドスミス(2007)
[159] 서적 ゴールドスミス(2007)
[160] 서적 サイム(2004)
[161] 서적 ロリオ(1994)
[162] 서적 ケルナー(1990)
[163] 서적 サイム(2004)
[164] 서적 サイム(2004)
[165] 서적 ロリオ(1994)
[166] 서적 ロリオ(1994)
[167] 서적 サイム(2004)
[168] 서적 ロリオ(1994)
[169] 서적 マグレイン(1996)
[170] 서적 マグレイン(1996)
[171] 서적 ロリオ(1994)
[172] 서적 ロリオ(1994)
[173] 서적 フェールズィング(2012)
[174] 서적 マグレイン(1996)
[175] 서적 サイム(2004)
[176] 서적 コットン(1964)
[177] 서적 マグレイン(1996)
[178] 서적 山崎(2009)
[179] 서적 ロリオ(1994)
[180] 서적 ロリオ(1994)
[181] 서적 モンテイユ(2023)
[182] 서적 マグレイン(1996)
[183] 서적 ビカール(1970)
[184] 서적 湯浅(1973)
[185] 서적 コットン(1964)
[186] 서적 湯浅(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